0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 Center
Mitochondrial Research Affinity Collaboration-Laboratories & Engineering

Home > 0

알츠하이머,치매 = 제3형 당뇨병?

  • 작성자홍다혜
  • 작성일2009-02-03 17:13:40
  • 조회수2076
  • 첨부파일첨부파일
인슐린이 알즈하이머질환관 연관된 독성단백질로 부터 뇌를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노스웨스턴대학 연구팀이 '미국립과학원보'에 밝힌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사의 아반디아등의 당뇨병 치료제가 이 같이 뇌를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 알즈하이머질환이 뇌 속 발병한 당뇨병의 일종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1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췌장이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고 2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인체 조직이 인슐린 수용체 장애로 인해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되 발병하는데 비해 3형 당뇨병은 인슐린 수용체 장애가 뇌 속에 국한되 나타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사람들이 노화되게 되면 뇌를 포함한 인슐린 신호전달계의 효율성이 저하되시 시작 뇌가 알즈하이머질환을 유발하는 독소에 취약해져 뇌 속 끈적한 아밀로이드베타라는 플라크가 뇌 속 축적되게 된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알즈하이머질환이 발병한 쥐의 신경세포를 인슐린으로 치료한 결과 'amyloid beta-derived diffusible ligands(ADDLs)'라는 기억생성 뇌세포를 공격 기억력 저하를 유발하는 단백질이 차단됐다라고 밝혔다. 또한 과거 연구에서도 당뇨병을 앓는 사람들이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알즈하이머질환이 발병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바 있으며 지난7월 마운트시나이의대 연구팀이 밝힌 바에 의하면 인슐린과 당뇨병 치료앙약을 사용했던 당뇨환자들이 단지 인슐린만을 사용한 사람들에 비해 알즈하이머질환이 발병할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 습관을 갖는 것이 당뇨병을 예방할 뿐 아니라 알즈하이머질환을 예방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메디컬투데이 김지효 기자 (bunnygirl@mdtoday.co.kr)
Total404 [ page2/27 ]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389 대한생리학회 KJPP 인용상 - 김형규, 정승훈 2014.10.29 이정훈 2014.10.29 1,774
388 Best Presentation Award - 김형규 2014.09.29 이정훈 2014.09.29 1,008
387 제13회 부산과학기술상 - 한진 첨부파일 2014.04.30 이정훈 2014.04.30 1,006
386 우수포스터 수상 - 고태희 2014.02.28 이정훈 2014.02.28 683
385 ASMRM2013 Best Poster Award - 김형규, 송인성 교수님 첨부파일 2013.11.28 김형규 2013.11.28 1,242
384 제 11회 한일혈관학회 수상-이성률 교수님, 허혜진학생 첨부파일 2013.09.02 허혜진 2013.09.02 2,104
383 좋은 글 2013.04.09 서대윤 2013.04.09 2,425
382 글귀가 너무 좋아서~~~ 2013.02.14 서대윤 2013.02.14 2,808
381 학문을 직업으로 삼으려는 젊은 학자들을 위하여 2013.01.03 서대윤 2013.01.03 2,962
380 심혈관대사질환센터 2012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3개 과제 선정 2012.05.01 한선영 2012.05.01 3,299
379 근육량 늘리면 당뇨병 잘 안 걸린다 2011.07.29 김형규 2011.07.29 2,759
378 [학생 인턴 연구원 모집] 2011.06.21 이선영 2011.06.21 3,675
377 Sodium nitroprusside (SNP) 첨부파일 2011.06.03 하영란 2011.06.03 3,878
376 우리가 사는 지구는? 2011.05.26 김나리 2011.05.26 2,624
375 Error bars in experimental biology 첨부파일 2011.05.02 허혜진 2011.05.02 3,124
처음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