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 Center
Mitochondrial Research Affinity Collaboration-Laboratories & Engineering

Home > 0

"ITㆍBT융합에 한국미래 달렸다"

  • 작성자김태호
  • 작성일2005-10-17 20:38:43
  • 조회수1916
  • 첨부파일첨부파일
◆오명 부총리ㆍ윤종용 부회장ㆍ황우석 교수 특별좌담◆ 정보기술(IT)-바이오기술(BT) 등 신기술 융합 분야에 향후 10년 동안 1조5000 억원이 투자되고 국내 최대 IT업체인 삼성전자가 BT 개발을 위해 투자 규모를 늘린다. 황우석 서울대 교수 연구팀은 줄기세포를 이용한 난치병 치료기술 상용화를 위 해 외국 유명 줄기세포 관련 업체와 공동 연구개발센터 운영을 검토중이다. 오명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은 과학기술부 부총리 체제 출범 1주년을 기념 해 최근 서울 코엑스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가진 '산ㆍ관ㆍ학 최고 전문가 특 별좌담회'에서 "한국의 장래는 ITㆍBT 융합에 있다"며 "앞으로 이 분야 신기술 융합 분야에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오 부총리는 올해 정부는 IT-BT 융합기술 개발에만 300억원을 투자하고 있으며 앞으로 10년 동안 새로운 융합기술 개발에 1조5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10년~20년 이후를 대비한 핵심 원천기술 확보와 성장 잠재력 배양을 위해 과학기술채권 발행 등 과학기술투자 재원을 확보해 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이날 좌담회에서 "1950년대부터 2000년 정도까지 산 업을 주도했던 IT산업은 이제 한계에 도달해 있다"며 "향후 신성장동력 산업으 로 부상하고 있는 BT산업과의 접목을 위해 IT-BT 융합 연구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윤 부회장은 "아직 BT 분야에 대한 투자시기를 지켜보고 있다"며 "구체적인 사 업 아이템이 결정되면 대규모 투자를 통해 새로운 사업 영역을 개척할 방침"이 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삼성전자는 현재 100여 명의 연구원들이 BT 분야와의 융합기술 개 발을 연구중"이라며 "국내 바이오 업계의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 다"고 덧붙였다.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는 "국가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3대 요소는 △국가 최 고지도자의 과학기술에 대한 애정 △국가 과학기술을 실제로 지휘하는 행정책 임자의 비전과 능력 △현장 연구인력의 정신자세"라며 "앞으로 한국 BT산업의 발전을 위해 정부 차원의 배려가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줄기세포 관련 업체인 J사가 한국에 줄기세포연구개발센터 설립을 제안해 왔다"며 "줄기세포를 통한 난치병 치료기 술 개발 상용화를 위해 공동연구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J사는 나스닥에 상장된 세계적인 줄기세포연구기업으로 줄기세포 관련 특허 24 0여 개 중 178개를 보유하고 있다고 황 교수는 전했다. 이 회사 최고경영자인 O씨는 유럽과 아시아지역을 총괄하는 줄기세포연구개발(R&D)센터 설립을 위해 싱가포르 일본 태국 인도 등을 상대로 장소를 물색하다 한국의 IT환경 등을 보 고 한국에 설립하기로 결정했다고 황 교수는 소개했다. 그는 황 교수 연구실을 둘러보고 즉석에서 50대50으로 공동 연구개발센터 설립 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오명 부총리는 "지난 1년 동안 과학기술 부총리를 중심으로 관계 부처들 이 과학기술과 관련된 여러 정책과 현안들을 조율하고 상호 협조하는 분위기가 정착됐다"며 "세계에서 처음으로 시도한 과학기술 부총리 체제는 일단 성공적 으로 정착됐다"고 자평했다. 그는 "미국 영국 핀란드 등도 과학기술 부총리 체 제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위정환 기자 / 이명진 기자] < Copyright ⓒ 매일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Total406 [ page26/28 ]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31 Mitochondria and Diabetes 2005.01.30 한진 2005.01.30 2,066
30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세요. 2005.01.30 한진 2005.01.30 2,072
29 향후 10년간의 의약품 R&D 예측: 미토콘드리아......심혈관질환의 치료표적 2005.01.30 한진 2005.01.30 2,417
28 말아톤은.... 2005.01.30 한진 2005.01.30 1,937
27 오래 오래 삽시다. 2005.01.30 한진 2005.01.30 3,395
26 중년기의 심혈관 위험인자들이 치매 위험을 증가시켜...... 2005.01.28 한진 2005.01.28 1,935
25 세포 발견이 질병 인식을 이끌어낸다 첨부파일 2005.01.27 강성현 2005.01.27 1,843
24 심장 발작에 대한 9가지 주안점 첨부파일 2005.01.27 강성현 2005.01.27 1,782
23 미토콘드리아에서의 문제점들이 대사적 증후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첨부파일 2005.01.27 강성현 2005.01.27 1,974
22 보다 나은 근육들을 만듬 첨부파일 2005.01.27 강성현 2005.01.27 2,012
21 다윈의 피리새들 첨부파일 2005.01.27 강성현 2005.01.27 1,924
20 Age well the mitochondria way 2005.01.27 한진 2005.01.27 3,546
19 Mitochondria Make A Comeback, Science (Cover page) 2005.01.27 한진 2005.01.27 3,329
18 The Mitochondrion: Central to Apoptosis (from Science) 2005.01.27 한진 2005.01.27 6,107
17 L-carnitine needed transport fats 2005.01.26 문혜진 2005.01.26 2,661
처음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마지막